이러한 사회변화와 담론은 외피에 대한 인식변화를 초래한다 포스트모더
니즘의 일회성, 동시성, 허상의 현실 대체화는 표면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
고 외피의 표면에 표현성과 자율성을 부가한다 표면에 대한 인식 변화는 일
회성이 강조되는 외피, 인터페이스로서의 외피, 세계를 인식하는 재현적 외
피, 거대한 볼륨을 해체하는 외피 등으로 나타나고 이것은 현대 건축가들이
외피의 새로운 표현성을 위해 유리외피를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배경이 된다
가즈요 세지마와 니시자와는 현재사회에 시야를 고정해야 하고, 유리외피
에 투명성이라는 시각적인 의미를 넘어 다양성과 유연성이 존재한다고 주장
한다 얇은 볼륨을 만들기 위해, 투명한 매스를 만들기 위해, 벽과 공간 간의
관계성을 위해, 형태의 미학적인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유리외피를 구축한
다 헤르조그와 드 뫼론은 사상과 개념을 전달하는 것은 물질성이라고 생각
하며, 건축의 경험에 주목한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일수급전 진주개인급전의 차이는? (0) | 2018.01.16 |
---|---|
거제일수급전 통영일수급전 비교해 보니.. (0) | 2018.01.16 |
Topology의 정의 (0) | 2017.12.29 |
통영일수급전 거제직장인대출에 대해서 (0) | 2017.12.27 |
후기구조주의 (Poststructuralism) (0) | 2017.12.09 |
WRITTEN BY
- 안소민
메이데이!메이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