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nger 인과성의 목적은 두 시계열

중 어느 시계열이 우선 하는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인과관계는 아니다(유지성, 1995).
단위근 검정 결과로 볼 때 각 수준변수들이 다 단위근을 가지고 있다. 1차
차분 후에 각 변수들의 단위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각 1차 차분 변수
들이 사용되고 나서 인과관계를 검정한다. 인과관계를 검정하기 전에 시차를
먼저 구한다. <표 5-5>중에서 벡터자기회귀를 이용한 D(LnF1), D(LnY)의
AIC와SC의 값이 비교한 후에 시차가 4인 경우 가장 낮다. 그래서 사차 4를
적정시차로 선정한다. 따라서 인과관계 검정의 시차를 4차로 놓고 분석한다.
다른 변수들도 벡터자기회귀분석을 이용한 AIC와 SC를 통하여 시차를 선정한
다.

보면, 동부지역은 F1(금융연관비율)과 Y(GDP)이 서로 인
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2(금융심화)가 Y(GDP)에 인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부지역은 경제 성장과 금융 발전이 서로 인과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부지역 금융 발전이 경제 성장에 동력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경제 성장이 금융 발전을 추진하는 효과가 있다. 중부지
역은 금융 발전과 경제 성장이 서로 인과관계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서부지역은 F1(금융연관비율)이 Y(GDP)에 인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서부지역은 금융 발전이 경제 성장에 인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지역은 Y(GDP)가 F2(금융심화)에 인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북지역은 경제 성장이 금융 발전에 인과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RITTEN BY
안소민
메이데이!메이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