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경제 위기와 이를 바탕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경제 문제는 개인적․사회적으로 합리적 의사결정능력 함양을 절실히 요
구하고 있다.따라서 국민들의 경제적 소양 증진 및 합리적 경제생활을
위한 방편의 하나로 초․중등 대상의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의식의 틀이 잡히는 성장기인 청소년기에 배운 경제적 지식과 경제
적 사고 성인기의 태도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청소년을 대상
으로 하는 경제교육은 중요하다(유학수,2007).
현행 7차 교육과정은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학습자의 현실생활과 밀접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교육부,2001).경제교육도 현실 경
제의 인식과 경제사회 변동의 전망 및 대응에 필요한 경제적 사고력과 의
사결정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실용적인 지식의 체계적 이해와 실천적
기능숙달 및 바람직한 가치판단을 할 수 있는 학습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오영수,2004).즉 경제교육의 인지적 목표인 경제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실제 생활에 활용하여 합리적 경제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경제
교육의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다.
미국의 전국경제교육협의회(NCEE)는 2001년 고등학생의 경제과목 관
련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테스트를 작성하여 실시한 바 있다.
2002년 KDI에서는 이 테스트를 한국의 고등학생 2,658명을 대상으로 실
시했는데 경제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경제이해도 테스트 평균점수는 57.8
점이고 경제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의 평균은 54.7점으로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유정호,2003).이 결과에 따르면 즉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한국의 경제교육은 학생들의 경제이해도 향상으로 직
결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WRITTEN BY
안소민
메이데이!메이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