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性)과 명(命)이 일치되어야 긍정적인 마음이 생기고 참다운 얼, 본성이 자리잡게 되는 것이다성(性)과 명(命)이 하나인 무극의 상태, 본성의 상태, 태어나면서 성(性)과 명(命)으로 나누어진 상태가 아닌 태어나기 전의 상태가 (선천진일지기) 되는 것이다 모든 것이 저절로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표(7) 7 단계- 나도 없고 그림도 없는 단계 Ⅳ 절대이념 실현 3단계와 카타르시스 7단계와의 비교연관성 71 장성철, 북하우스/동양인의 체질에 맞는 멀티테라피 새 그림치료 p29 51 1 절대이념과 인간본연의 마음(성性)의 연관성 헤겔 [Hegel]의 이념은 개인의 감각(매체)과 만나서 정신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의 감각·의식·지성의 형태를 가지는 주관적 정신은 성명론에서의 명(命)에 해당하는 탐(貪), 진(嗔), 치(痴), 애(愛), 악(惡), 욕(慾)을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를 통해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으로 표출하게 된다 그리고 객관적 정신은 개별적인 것으로부터 발전하여 객관화되고 사회화된 것으로서 법·정의·도덕·인륜(人倫)이라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동양의 성명론에서 나오는 성(性)이라고 볼 수 있다 수오지심 (羞惡之心), 측은지심(惻隱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의 사단을 의미한다고 보여진다 절대적 정신은 주관적 정신과 객관적 정신의 통일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주관적 정신이 개별적 정신의 발전임에 비하여, 객관적 정신은 객관적 세계 안에 실현된 정신이다 따라서 객관적인 영역으로부터 주관과 객관에서의 유한성을 지향하여 자기와의 전적인 동일성(同一性)을 자각한 정신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본연의 마음(성性명命)은 성(性)과 명(命)이 하나인 무극의 상태, 본성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태어나면서 성(性)과 명(命)으로 나누어진 상태에서 또한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누어진 상태에서 다시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성(性)에 해당하는, 법,정의,도덕,인륜과 명(命)에 해당하는 본능,감각,의식이 만나면 식(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긍정적인 마음이 생겨 참다운 진리,본성이 자리잡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52 헤겔 [Hegel]의 절대정신은 주관, 객관적 정신의 통합으로 본다면 인간본연의 마음인 본성은 성(性)과 명(命)이 통합인 무극의 상태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주관은 명(命)에 해당하며 객관은 성(性)에 해당되고 이 둘의 통합이 헤겔 [Hegel]이 말하는 절대정신, 동양에서 보는 인간의 본성에 해당되는 것이다 53 2 매체로서의 예술의 연관성 헤겔 [Hegel]은 절대이념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감각적 현실로 예술을 이야기 한다 즉 예술은 절대이념의 구체적인 실현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매체인 것이다 멀티테라피에서도 예술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성과 명의 일치된 무극의 상태)으로 갈 수 있는 매체지만 그림과 음악과 운동을 따로 두지 않으며말 그대로 오 감각(五感覺)을 꾸미지 아니하고 내면에서 자연스럽게 행위 될 수 있도록 하여 그것이 삶과 접목되어 예술과 삶 자체가 서로 따로 됨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이 멀티테라피의 예술 이라고 말할 수 있다 72 예술은 절대이념의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형상이며 인간의 본성의 상태로 들어가는 매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72 멀티테라피 협회웹사이트에서 ‘그림치료’에서 발췌 54 3 헤겔 [Hegel]의 절대이념 실현 3단계와 멀티테라피 카타르 시스 7단계의 단계별 연관성 1) 절대이념 실현 1단계와 카타르시스 1단계~2단계 연관성 1단계 매체, 나 정신,본성 형식 매체>이념 감각,의식,생각 주관적 정신 상징주의 예술 형식 1) 내가 그림을 그리는 단계 2) 그림이 나를 그리는 단계 의식의 나, 본능의 나 명(命),유전인자 탐(貪), 진(嗔), 치(痴), 애(愛), 악(惡), 욕(慾) 칠정 희,노,애,락,애 악,욕 * 표(8) 1단계,매체>이념, 카타르시스 1단계~2단계 연관성 비교 연관성 1) 매체, 나 예술의 형식, 자신의 삶의 틀을 본다 절대이념,인간의 본성 보다는 담겨진 형식 즉 의식의 나, 매체를 보는 단계이다 미화된 자신의 모습, 미화된 이념이라고 보여진다 2) 정신,본성- 주관적 정신, 명(命) 헤겔 [Hegel]은 이념은 개인의 감각(매체)과 만나서 정신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의 감각·의식·지성의 형태를 가지는 주관적 정신이 되는 것이다 이는 동양사상의 명(命)에 해당하며 안(眼), 이(耳), 비 (鼻), 설(舌), 신(身), 의(意)를 통해 탐(貪), 진(嗔), 치(痴), 애(愛), 악(惡), 욕(慾)의 감정이 나오는 것이다 즉 자신의 감각과 본능이 의 식으로 이념으로 나오는 것이다 3) 예술 형식 헤겔 [Hegel]은 주관적 정신이 나타나는 예술 형식으로 상징주의를 말한다 규칙성, 형식의 통일성, 색채의 조화를 중요시 하는 예술형식 55 이지만 이념을 표현하기에 너무 꾸미는 것이 많아 이념을 제대로 표 현할 수 없다고 본다 때때로 잘못된 내용으로 형식, 매체만 보이게 되고 이념이 조잡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멀티테라피에서는 의식의 나와 본능의 나를 알 수 있는 것으로 자신 의 칠정 희(喜)노(怒)애(哀)낙(樂)애(愛)오(惡)욕(欲) 을 표현하 며 탐(貪), 진(嗔), 치(痴), 애(愛), 악(惡), 욕(慾)알게 되는 것이다 예술매체를 통해 예술에 담긴 이념, 자신의 본성 중 명(命)에 해당하 는 자신의 탐(貪), 진(嗔), 치(痴), 애(愛), 악(惡), 욕(慾)알게 되는 것이다 眞善美73 중 감성, 미(美)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