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18>은 월풀(Whirlpool)의 ‘바이오로직(BioLogic)'세탁기로 세탁기와 정원의 기능을 결
합하여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온 세탁 오수를 화학 작용 및 자연 정화를 거친 뒤
세탁기 윗부분에서 자라는 식물의 영양분으로 공급하게 하고 옷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사
용할 수 있도록 투입구를 6개로 나눈 친환경성과 기능성을 갖춘 미래형 세탁기이다.또 다른
예인 프라다의 RFID_closet70)<그림19>은 무선 식별(RFID)안테나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특정 의류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고 선택할 수 있다.옷의 등록과 정보는 ‘인터넷 옷장
(web-closet)’과 연결되어 스크린을 활용하여 고객의 착용 기록을 보고 편리한 구매를 하도록
돕는 시스템이다.이 같은 미래형 제품 디자인은 기술의 발전을 제품에 적용하여 융합함으로
써 영역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제품의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 장신구의 특성과 융합
본 장에서는 현대 장신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분류하여 장신구의 개념 변화에 따른 표현
형식,재료,기법의 변화와 그 특성을 고찰하여 현대 장신구에서 나타난 융합적 요소를 살펴
보고,이를 바탕으로 현대 장신구의 탈경계적 융합 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현대 장신구의 융합적 요소를 고찰하기 위한 예비 과정으로,장신구의 기원과 17세기
부터 20세기의 미술과 장식 예술 사조에 나타나는 장신구의 융합 요소를 양식적 특성을 중
심으로 살펴보았다.이어서 20세기 후반의 시대 변화에 따른 현대 장신구의 개념과 표현 형
식,재료,기법의 변화와 그 특성을 융합의 맥락에서 고찰하고,조형 예술 및 디자인의 영역
과 현대 장신구의 탈경계적 융합 현상을 발췌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이를 위하여 20세기 후
반부터 최근에 발간된 현대 장신구 관련 국내외 단행본과 문헌 가운데 준거된 자료를 중심
으로 살펴보았음을 밝혀둔다.
장신구의 융합 요소 발현
장신구는 인간의 신체와 의복을 장식하는 신변 장식품으로 사용되어 온 오브제로서 인류
의 시작과 그 역사를 함께한 중요한 문화적 산물이다.장신구는 고대 이전부터 인간에게 있
어 장식과 꾸밈이라는 미적 표현의 한 수단으로서,기원과 주술의 도구로서,사회적 질서의
유지를 위한 권력의 상징으로서 여러 목적을 가지고 사용되어 왔다.
장신구의 제작 의도 속에는 전통적으로 중요시되던 의상의 한 부분으로서의 기능,신체 혹
은 의상과의 시각적 조화 혹은 강조,그리고 종교,권력,사랑,사건 등등을 표상하는 기호로
서의 의미,장신구 재료의 희소성과 재화성,공통성 등의 복합적 가치가 포함되어 있다.71)그
러므로 장신구는 착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무엇을 하는 누구인지’를 알려주는 매개체의 역할
을 하며,장신구 문화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사람들의 사고의 변화에 의해 각각의 시대와 문
화의 미적 가치에 준거하여 발전하며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예술을 가늠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
움베르트 에코는 그의 저서『열린 예술 작품』에서 예술 작품과 열린 성격의 관계에 대해
서 언급하였다.‘열린 성격’은 문화의 모든 측면에서 세계를 가능성으로 지각하고 느끼고 보
게 할 수 있기에 문명의 가장 귀중한 가치로 예술작품의 풍부함을 보작해 준다고 하였다.72)
이러한 관점에서 장신구를 보면,17세기의 바로크 장신구 또한 고전주의 정신과 표현 방식에
서 벗어나 ‘열림’에 상응하는 세계를 반영한다고 하겠다.예컨대 17세기 초 쟝 투탱(Jean
Toutin)의 회화 에나멜에서 유래된 바로크 장신구의 대표적인 특징인 에나멜 장신구의 표현
들73),눈에 띄게 증가한 다이아몬드 사용에 따라 발달하게 된 다이아몬드 커팅 기술과 연마
기술,늘어난 의 수요를 충족하고자 유리 구슬 안에 왁스를 주입하여 제작한 모조
의 제조법74),남성들의 장신구 착용75)등은 바로크 장신구에 나타난 서로 다른 양식과 장르
간의 교환과 결합,재료의 다양한 활용,표현의 역동성 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이는 전통을
넘어 창조적 역할을 확립하려는 노력이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하학적 형태 (0) | 2017.10.10 |
---|---|
르네상스 (0) | 2017.10.09 |
예술적 가치 (0) | 2017.10.07 |
순환적 상상력 (0) | 2017.10.06 |
본인의 작품에서.. (0) | 2017.10.05 |
WRITTEN BY
- 안소민
메이데이!메이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