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조사를 통하여 한국의 경제체험교육은 주로 학교 밖
안소민
2016. 8. 6. 11:40
위의 조사를 통하여 한국의 경제체험교육은 주로 학교 밖
에서 이루어지고 있
으며, 대부분 위탁운영의 형태로 모(母)기관이 사업을 발의하여 경제교육 전문
기관에 위탁을 통해 교육이 운영되는 B2B(business to business) 형태가 가
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강인애, 김현우, 황선하, 2011).
한편, 경제체험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의 현황에 있어서, 경제교육의 초기 단
계에 있는 국내의 경우 한 두 곳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제교육기관이 직원 2~3
명으로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육의 부실화와 더불어 학습자
들에게 불신을 주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한경동, 2006).
전문가 인터뷰 및 현장 방문 등의 조사4)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는데, 경
제교육을 운영하는 기관 중 1곳을 제외하고, 교육의 개발, 운영, 관리자가 2~3
명 수준인 곳이 대부분이었으며, 경제교육 자체 표준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국
내 기관 1곳과 해외에서 들어와 있는 지점 1곳으로 2곳에 불과했으며, 교사
연수과정을 보유하고, 주기적 연수를 시행하는 곳은 단 1곳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