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회화적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인의 회화적 여정에 따라 작품 활동 초기부터 최근
에 이르기까지의 특징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자연적인 빛으로부터 가로
등,네온사인,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등처럼 인간이 만들어낸 현실적인 빛으로의 관
심 전환은 회화에 있어 빛과 어둠이 확산하는 정신적 공간에의 더 강한 주목을 의
미한다.본인은 희망을 상징하는 빛이 이질적이고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 세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빛과 어둠이 공존하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 특히
주목하였다.세상을 관조하게 하는 빛에 의해 재구성된 빛공간은 현대인의 소외를
직·간접적 노출의 방식으로 가시화하여 극복하게 하기 때문에 내면적 정신세계의
추구와 끊임없는 인간정신을 추구하게 하는 성찰적 공간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둘째,스펙트러 원근법을 좀더 발전시키고자했던 본인은 명암의 대비를 억제하여
평면적인 단색조와 희미한 형상이 주조를 이루는 단순한 패턴을 지향하게 되였다.
듬성듬성한 불빛 점들과 가장자리가 풀어진 수평선에 의해 평면 위에 새롭게 재구
성된 빛공간을 통하여 극도로 절제된 화면 속에 깊이 있는 명상적 공간을 산출해
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그리고 이러한 빛공간은 내면의 자아와 외부 세계 및
작가와 관람자가 끊임없이 상호교류하게 하는 통로이자 인간 자신의 내면을 반추
하게 하여 진정한 인간정신을 모색하게 하는 명상적이고,
성찰적인 공간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빛의 개념과 특징,빛과 공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회화의 역사에 나타난
빛과 공간의 역사적 흐름을 대략적으로 추적해 보았다.그리고 본인과 밀접한 연관
성을 맺고 있는 호퍼와 로드코의 작품을 분석한 후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회화
에 나타난 빛과 빛에 의해 표현된 공간의 상징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실재
와 접촉하는 가장 감각적인 수단인 시각에 의해 가장 먼저 인식되는 빛은 관찰대
상과 관찰주체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매개하기 때문에 단순한 물리적 차
원에서 뿐만 아니라 지각적·심리적 차원서 심층적으로 고려할 때 상징적인 의미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생명의 원천이며 현상임과 동시에 생명 그 자체가 되기도 하
는 빛은 인간의 삶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당대를 살아가는 예술인의 정신
적인 기록이자 반응인 회화의 역사에서 주요 테마로 등장하였다.특히 회화의 역사
에 나타난 빛은 3차원적 공간 표현으로서의 자연적인 빛과 종교적 상징의미로서의
정신적인 빛이었다.하지만 본 본문에서의 빛은 공간 표현으로서의 자연적인 빛과
종교적 상징의미로서의 정신적인 빛을 구분하려는 시도에서 제시된 개념이 아니라,
시대와 역사를 초월하여 빛 자체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의
식에서 비롯된 개념이었다.현대사회의 도시 속 고독한 인간소외 문제를 다룬 호퍼
의 빛은 황량한 풍경 속에 소외된 인간의 내면을 반사하게 하여
소외를 벗어나게하는 희망을 상징하였다.